본문 바로가기
Property

주택청약 점수, 나는 몇 점일까?

by 애즈노트 2025. 4. 2.
반응형

 

‘내 집 마련’, 누구에게나 설레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요즘 같은 시대에는 마음만으로는 어렵죠.
특히 청약이라는 문턱은, 알고 보면 복잡한 계산과 조건의 조합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나는 과연 청약 점수가 몇 점일까?”
궁금하셨던 분들을 위해,
부드럽고 쉽게, 청약 점수 계산법을 풀어보았습니다.


💡 청약이란 무엇일까요?

청약이란,
새롭게 지어진 아파트에 입주할 기회를 얻는 제도입니다.

누구나 도전할 수 있지만,
청약통장이 있어야 하고,
투기과열지구에서는 가입 후 2년이 지나야
1순위 자격이 주어집니다.

이처럼 조건이 다양하고 까다롭기 때문에,
청약 점수 계산법을 미리 알고 준비하는 게 중요합니다.


🏠 공공 vs 민영,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청약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어요.

구분설명
공공분양 국가와 지방주택공사가 주관해 짓는 아파트
민영분양 건설사가 주도 (자이, e편한세상 등)

민영은 가점제 + 추첨제 혼합 방식으로 당첨자를 선발해요.
특히 가점제는 점수가 높을수록 당첨 확률이 올라가므로
주택청약 점수 계산이 필수죠.


📌 청약 점수는 이렇게 결정됩니다

주택청약 점수는 총 84점 만점입니다.
다음 세 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계산돼요.

  1. 무주택 기간 (최대 32점)
  2.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3. 청약통장 가입 기간 (최대 17점)

각 항목을 자세히 살펴볼게요.


1️⃣ 무주택 기간

  • 본인과 배우자 모두 무주택자일 때만 점수 인정
  • 만 30세 이후라면, 30세 생일부터 계산
  • 만 30세 전에 결혼했다면, 혼인신고일부터
  • 과거에 집을 가졌던 이력이 있다면, 무주택 전환일로부터

❗ 한 명이라도 주택이나 분양권을 갖고 있다면 0점 처리됩니다.


2️⃣ 부양가족 수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점수도 올라갑니다.
하지만 조건이 까다로워요.

  • 배우자,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직계비속(자녀 등)만 인정
  • 같은 주민등록등본상에 3년 이상 함께 거주해야 함
  • 부양가족이 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면 점수 제외
  • 자녀가 결혼한 경우도 인정되지 않아요

👉 예를 들어,
같이 사는 부모님이 3년 이상 세대원이고 무주택자라면 +점수!


3️⃣ 청약통장 가입 기간

청약통장은 최대 17점까지 반영돼요.
가입한 기간이 길수록 유리하죠.

  • 1년 = 1점, 최대 17년까지 인정
  • 미성년자 때 만든 통장은 2년까지만 인정

요즘은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통장부터 만들기도 하죠.
미리미리 준비하는 지혜, 필요합니다.


💻 청약 점수 계산, 어렵지 않아요

혼자 계산이 어렵다면,
LH나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서 제공하는
청약 가점 계산기 를 활용해보세요.

정보를 입력하면,
당첨 가능성이 높은지 낮은지도 파악할 수 있답니다.


🌿 마무리하며

내 집 마련은
단순히 좋은 아파트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나의 삶을 설계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청약은 그 시작이죠.
주택청약 점수는 준비한 만큼 기회가 주어지기에,
지금부터라도 하나씩 점검해보세요.

오늘도
당신의 ‘내 집 마련’ 여정을 응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