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파트 평수 계산, 이제는 헷갈리지 마세요
글 · 생활 공간을 찾는 사람들을 위한 면적 이야기
어느 날, 친구에게 “그 집 몇 평이야?” 하고 물은 적 있으시죠?
집을 보러 다닐 때도, 부동산에서 상담을 받을 때도 우리는 무심코 ‘평수’로 이야기합니다.
그만큼 우리 일상에 ‘평’이라는 단위는 친숙합니다.
하지만 사실 알고 보면, 이 단위는 현행법상 정식 단위가 아닙니다.
지금 우리나라는 **제곱미터(㎡)**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죠.
🌱 평의 시작은 일제강점기
‘평’이라는 단위는 거슬러 올라가 보면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의 척관법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과거의 잔재를 청산하고자,
2007년부터는 공식적으로 제곱미터 단위를 사용하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여전히 사람들 사이에서는 평으로 이야기하는 게 더 익숙하고, 이해도 쉽다 보니
제곱미터를 평으로 바꾸는 방법을 알고 있으면 참 유용합니다.
📏 아파트 면적, 먼저 이것부터 구분하세요
계산법을 알려드리기 전에
먼저 정확히 아파트 면적의 종류부터 이해해볼게요.
전용면적 | 실제로 우리가 사는 공간 (거실, 방, 주방, 욕실 등) | ‘실사용’ 면적 |
공급면적 | 전용면적 +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등) | 계약서에 표시되는 면적 |
우리가 흔히 말하는 평수는 공급면적 기준입니다.
즉, 부동산에서 "이 집 30평이에요"라고 할 때는 공급면적을 말하는 것이죠.
📐 실용 예시로 이해하는 아파트 면적표
다음은 공급면적과 전용면적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평수 감 잡을 때 아주 유용해요.
25평 | 59㎡ | 85㎡ |
31평 | 74㎡ | 104㎡ |
35평 | 84㎡ | 117㎡ |
40평 | 95㎡ | 132㎡ |
🧮 계산은 간단해요: 0.3025와 3.3만 기억하세요!
- 1㎡ = 0.3025평
- 1평 = 3.3058㎡ (보통 3.3㎡로 간주)
예를 들어,
공급면적이 **114㎡**인 아파트가 있다면,
👉 114 × 0.3025 = 34.46평
반대로,
평수로 50평짜리 집의 제곱미터는?
👉 50 × 3.3 = 165㎡
이렇게 간단한 수치만 기억해도
부동산에서, 혹은 집을 고를 때도
숫자 감이 쏙쏙 들어옵니다.
🏡 집을 보러 가기 전, 이 계산법은 꼭 기억하세요
요즘 같이 임장을 다니며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면적 개념을 정확히 아는 것은
작지만 아주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0.3025와 3.3, 딱 두 가지 공식만 기억해보세요.
이제 아파트 광고를 볼 때도,
그 집이 실제로 어느 정도 크기인지
감이 더 명확하게 오실 거예요.
'Proper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 한 번의 기회, 주택청약 특별공급이라는 선물 (1) | 2025.04.02 |
---|---|
주택청약 점수, 나는 몇 점일까? (0) | 2025.04.02 |
조합원 입주권, 매력 뒤에 숨겨진 주의사항들 (0) | 2025.04.02 |
1종 · 2종 · 3종 일반주거지역, 그 차이는 무엇일까요? (0) | 2025.04.02 |
도시형생활주택, 주택수에 포함될까요?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