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perty

주택청약통장,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by 애즈노트 2025. 4. 2.
반응형

부동산에 관심을 두고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주택청약통장’.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조건이 있고, 지역이나 면적별로 예치금은 어떻게 달라지는지까지 정확히 알고 계신 분은 드물 거예요.

오늘은 그런 여러분을 위해,
주택청약통장 지역별‧면적별 예치금에 대해 쉽고 차분하게 풀어보려 합니다.


주택청약통장이란?

먼저, 간단히 개념부터 정리해볼게요.

‘주택청약종합저축’은
과거에 따로 존재하던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을 하나로 합쳐 만든 통장입니다.
국민주택뿐 아니라 민영주택에도 청약이 가능하죠.
그리고 나이나 소득 제한 없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어요.
단, 매달 2만 원 이상 50만 원 이하의 금액만 입금할 수 있다는 점은 기억해두세요.

💡 : 매달 꼭 같은 금액을 넣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청년이라면? 청년우대형 주택청약통장

혹시 만 19세~34세 사이이신가요?
그리고 연 소득이 3천만 원 이하이신가요?
그렇다면 청년우대형 주택청약통장도 고려해볼 만해요.

✅ 가입 조건

  • 만 19세~34세
  • 연 소득 3천만 원 이하
  • 무주택 세대주 or 세대원

이 통장을 활용하면 최대 연 3.3% 금리까지 적용받을 수 있어요.
우대금리는 최대 10년간 5천만 원까지 가능하니,
내 집 마련을 향한 첫 걸음으로 손색이 없죠.


지역별‧면적별 예치금 총정리

이제 가장 궁금해하실 핵심!
어느 지역에, 어떤 면적의 집을 청약하려면 얼마나 넣어야 할까?
아래 표로 한눈에 정리해봤어요.

전용면적서울/부산기타 광역시기타 시·군
85㎡ 이하 300만 원 250만 원 200만 원
102㎡ 이하 600만 원 400만 원 300만 원
135㎡ 이하 1,000만 원 700만 원 700만 원

📌 전용 85㎡는 흔히 말하는 25평대 아파트 크기예요.


마무리하며

청약통장은 단순한 저축 수단이 아니에요.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쥘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기도 하죠.
특히 요즘 같은 시대엔 더더욱요.

예치금 기준도 어렵지 않죠?
자신이 원하는 지역과 주택 면적에 맞게 미리 준비해두는 것,
그게 바로 부동산 흐름을 선점하는 똑똑한 한 걸음입니다.

반응형